주요 해외 연금기관의 ESG 경영·투자 전략 현황 및 쟁점 분석(1) > Board

본문 바로가기
맞춤형 상담 요청하기   메뉴 열기
 

Board

ESG Insight 주요 해외 연금기관의 ESG 경영·투자 전략 현황 및 쟁점 분석(1)

페이지 정보

본문

2025년 핵심 이슈 8가지(연금 관점)

  1. 정책·공시 레짐 분절화 대응: ISSB 정합 공시를기본’, EU ESRS추가(더 상세)’로 매핑하고, 미국 노출자산엔 SEC 리스크 시나리오(불확실성) 관리 필요.

  1. 스튜어드십 실효성 & 논쟁적 자산(석탄·가스): NPS 사례처럼 정책-집행-공시 간 정합성과 목표·제외·참여의 조합 설계가 평판·재무 리스크를 좌우.

  1. 포트폴리오 전환전략의 정량화: GPIF·CalSTRS처럼 그리니엄·Scope 3·시나리오 등 정량분석 내재화 요구 증대.

  1. 멀티자산(대체/인프라/부동산) 탄소경로: 부동산·인프라에 운영 배출··폐기물 KPI를 편입하고, 인증·등급(: LEED, GRESB)과 수익성의 링크(전환 알파)를 명확히.

  1. 데이터·검증(보증) 체계: EU/호주 중심으로 제3자 보증(Assurance) 요구가 확대데이터 라인에이지·내부통제 내재화가 필수.

  1. 이중중대성 & 이해관계자 거버넌스: 첨부자료의 이중중대성 프로세스/이해관계자 매트릭스는 연금 맥락에서도 유효(회원·정부·운용기관·지역사회). 의사결정 반영 루프 설계가 중요.

  1. 규율·소송 리스크 관리: 미국처럼 규정이 흔들려도 주(투자자 요구·거버넌스 평가는 지속 → ‘최소 공통분모공시를 유지하는 전략이 안전판.

  1. 내부역량·시스템 고도화: KPI·리스크·의결권·참여활동을 통합 대시보드로 묶고, 정책-집행-성과-보상의 체계적 연결이 필요.

 

연금(연기금·공제회) ESG 통합 정리

1) 규제·공시 환경(핵심 요약)

  • 글로벌 공시단일 토대’ → ISSB(S1/S2): 지배구조·전략·리스크관리·지표·목표 체계로 정렬, 산업별 공시는 SASB 적용. 다수 국가가 국내 기준으로 전환 중.

  • EU ESRS·미국 SEC·ISSB의 병행 대응 필요: ESRS 적용(유럽), SEC 기후공시(미국), ISSB 일반요구/기후 공시(글로벌) 비교 정합이 필수.

  • 국내는 KSSB 기반 정착: 금융위·거래소 가이던스와 함께 공시책임 확대 추세, KSSB 설립(’22.12) 이후 초안·검토 진행.

2) 시장·운용(투자·스튜어드십) 현황

  • ESG 투자 저변 확대: 글로벌 ESG 펀자금 순유입 지속, 자산대비 ESG 비중 장기 증가.

  • 스튜어드십 코드의 제도화·내재화: 국내 도입·원칙(정책공개, 이해상충관리, 의결권 활동 공개 등) 확산.

  • 보고 관행의 표준화: 국내 연금·공제회는 IFRS/SEC/ESRS 등 글로벌 기준을 참조해 재무현황·ESG투자·리스크관리 등을 공시(공통 목차).

3) 벤치마킹 포인트(국내·해외)

  • GPIF(일본): ESG·스튜어드십 활동의 효과 측정, 포트폴리오 온실가스 배출량·Greenium 분석, 기후 리스크/기회 정량평가. → 전환전략·측정의 교과서.

  • CalSTRS(미국): 경제·환경·사회 전략목표에 ESG를 결박(연금 본업 연계), 대체·부동산까지 리스크 통합.

  • 국내 공제회·연금:

  • 사학연금: ‘ESG 선도비전, 3대 방향·11개 과제, () 연계 책임투자 확대.

  • 공무원연금: 사회공헌 마일리지 KPI 등 운영 내재화 사례.

  • 교직원공제회: 저축·대여·보험·복지 핵심사업과 ESG 전략체계 연계.

  • 과학기술인공제회: 친환경 투자·에너지관리·정보보호·리스크관리 등 E/S/G 전반의 체계화.

4) 2025년 핵심 쟁점(연금 시사점)

  • 다중 공시체계 정합화(ISSB↔ESRS↔SEC): 용어·범위·배출 산정·시나리오 요구의 차이 관리.

  • 스튜어드십 실효성: 의결권·참여활동의 우선순위화와 결과 공개(참여성과의 연결고리 명확화).

  • 포트폴리오 전환전략의 정량화: Scope1·2·3, 고배출 섹터 비중, Greenium, 시나리오 기반 손상·VaR, 대체(부동산·인프라) 운영 KPI까지 확장.

  • 데이터 거버넌스·보증(Assurance) 준비: 데이터 라인에이지·증빙 경로, 내부통제·감사 대응 프로세스 선제 구축.